신장동 치과 : 어금니에 생긴 우식, 레진 및 인레이 치료로 기존의 자연치와 구별되지 않게 수복
안녕하세요,
신장동 치과 입니다.
평소에는 잘 씹던 음식이
어느 순간 닿을 때마다 시큰거리고
불편해진 경험이 있으신가요?
이를 단지 작은 문제라 생각하고 넘기다 보면
생각보다 빠르게 진행되어
더 큰 치료가 필요하게 됩니다.
특히 어금니에 우식이 생기면
단순히 통증이 있는 것만이 아닌
씹을 때마다 걸리적거리거나
음식물이 잘 끼게 되어
칫솔질 후에도 개운하지 않는
느낌이 남습니다.
큰 어금니는 씹는 힘을 대부분 담당하는
중요한 치아이기 때문에
작은 충치라도 방치하면
기능 저하와 더불어
더 큰 손상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오늘은 이런 불편을 해결하기 위해
진행한 레진과 인레이 치료에 대해
이야기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치료가 필요해 보이는 치아들

구강 내에서 갈색으로 보이는 부위가 있다면
이는 대부분 우식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치아 표면의 법랑질이 손상되면서
색이 변한 경우가 많으며,
시간이 지나면서 병소가 점점 깊어지면
저작 시 통증, 차거나 단 음식에 시리고
심한 경우에는 신경에도
염증이 번질 수 있습니다.

신장동 치과 에서 치식을 적어놓은 부분이
오늘 치료를 할 부위이며,
각각 어떤 치료가 필요한지 알기 위해
엑스레이 촬영을 통해 살펴봅니다.
엑스레이를 통해 치아 내부 확인

구강 내에서 우식이 확인되면,
단순히 겉모습만으로는
치료 범위를 정확히 판단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엑스레이 촬영을 통해
병소가 치아 내부 어느 정도까지
진행되었는지를 먼저 확인합니다.
만약 우식이 작고 국소적이라면,
손상된 부분만 제거한 후
레진 수복으로 마무리할 수 있습니다.
신경까지 닿지는 않았으나
그 거리가 가까우며 범위가 다소 클 때는
인레이 수복을 통해 강도를 보강합니다.
인레이 prep 도중 파절선 발견


인레이 수복을 하기 위해
치아를 삭제하는 과정에서
예상치 못하게 파절선이
발견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내부에서는 이미 치아가 약해져
균열이 진행된 상태였던 것이죠.
이러한 파절은 시간이 지나면서
더 큰 파절로 이어질 수 있고,
경우에 따라 인레이 대신
크라운으로 치료 계획을
변경해야 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오늘 신장동 치과 에서
준비한 케이스는 resin base를
밑에 깔아 보강한 후
인레이로 수복할 수 있었습니다.
인레이 보철 제작 과정


우식이 인접면까지 퍼져 있는 경우에는
보철 치료 시 정밀한 적합도가
특히 중요합니다.
이때는 구강 스캐너를 이용해
치아의 형태와 주변 관계를
더욱 정확하게 확인해

환자분의 치아에 딱 맞는
보철물을 제작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음식이 잘 끼지 않고
오래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대합치와의 관계도 확인해야 되며
교합이 맞지 않으면
씹을 때 불편감이 생기거나
특정 치아에 힘이 과도하게 전달되어
보철물 파절 및 치아 마모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치료 후 구강 내 사진

신장동 치과 에서 치료가 완료된 곳에
표시를 해봤습니다.
이 표시가 없었다면
치료를 했는지 모를만큼
자연스러운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하악의 어금니도 레진으로 수복함으로써
모든 치료가 마무리 되었습니다.
이렇게 작은 우식은 빠르게 치료하면
간단하게 레진이나 인레이로 끝낼 수 있지만,
조금 더 늦어지면 신경치료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기 검진을 통해
작은 문제라도 미리 발견하는 것이
그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6개월마다 정기 검진을 받으며
더 큰 상황으로 이어지지 않게
구강 관리를 철저히 하시길 바랍니다.
신장동 치과 였습니다.
감사합니다.

치료기간: 2025.08.07~2025.08.19